한국환자단체연합회 등을 비롯한 '메르스 극복 국민연대 준비위원회'가 보건의료체계의 개혁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우선 최근 메르스사태가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켜야 하는 국가의 가장 기본적 기능인 국가 방역망이 뚫린 데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나아가 "지금 정부당국의 메르스 사태 후속조치를 보면, 앞으로 반복해서 출현할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감염병의 위험으로부터 나와 우리 가족의 생명과 안전이 제대로 보호될 것인가에 큰 의구심을 가질 수 밖에 없다"고 힐난했다.
이에 "이제부터는 부서진 외양간을 제대로 고치기 위한 범정부, 범사회적 노력이 시작되어야한다"면서 "신종 감염병에 의한 공중보건위기를 사전에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이제는 보건의료 전문가와 시민사회가 힘을 모아 잘못된 의료제도를 고쳐 나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다음은 준비위원회의 선언문 전문.
“메르스 사태의 진정한 극복은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개혁에서 시작해야 한다.” |
이번 메르스 사태는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켜야 하는 국가의 가장 기본적 기능인 국가 방역망이 뚫린 데서 비롯되었다. 방역당국의 지식부족과 부실한 초기 대응으로 인하여 서른 여섯분이 소중한 생명을 잃었고, 이만 명에 가까운 국민들이 자가격리를 당하면서 극도의 어려움을 겪었다. 그리고 경제적 손실 또한 수 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지금 정부당국의 메르스 사태 후속 조치를 지켜보면, 앞으로 반복해서 출현할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감염병의 위험으로부터 나와 우리 가족의 생명과 안전이 제대로 보호될 것인가에 대해 큰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아울러, 메르스 사태 진행과정에 확진되어 완치된 환자와 가족들, 그리고 병원에서 또는 집에서 격리된 수많은 국민들이 사회적 낙인에 따른 이차 피해로 고통을 받아서는 안 된다. 메르스 감염환자 모두 국가 방역망의 부실에 따른 피해자라 할 수 있다. 결코 이들이 비난받아서는 안 된다. 나아가 자가격리자들은 정부의 강제적인 조치에 큰 불편을 감수하면서도 성실히 따라 주어 우리 사회가 빠른 시간 내 메르스를 극복하는데 크게 기여한 공로자들이다. 이외에도 지역 보건소 요원, 119 구급대원, 그리고 지자체 공무원 등 많은 이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환자와 격리자 관리에 혼신의 힘을 쏟았다. 우리 공동체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이들 모두가 보여준 노력과 기여는 위로받고, 지지 받아야 한다.
2015년 8월 6일
소비자단체 : 녹색소비자연대, 소비자교육중앙회, 소비자시민모임, 한국부인회, 한국소비생활연구원, 한국소비자연맹, 한국여성소비자연합 시민단체 : 건강복지공동회의, 건강세상네트워크, 서울YWCA 환자단체 : 한국다발성골수종환우회, 한국백혈병환우회, 한국선천성심장병환우회, 한국신장암환우회,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한국GIST환우회 노동계 :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학계, 의료계 : 대한보건협회,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의협-의학회 공동 메르스 대책위원회, 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한국환경건강연구소 (가나다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