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계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성공과 정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간호사 인력에 대한 충분한 투자와 확충을 호소했다.
간병부담 해소 및 감염관리 등 입원 서비스의 질 제고를 위해 ‘보호자 없는 병동’을 목적으로 확대·제공되고 있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현재 병동 단위의 자율참여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2016년 6월말 기준으로 총 169개소, 291병동, 1만 2433병상이 참여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 기관은 연내 400개소, 2017년 1000개소, 그리고 2018년에는 전체 기관으로 확대될 계획이다.
대한간호협회 박영우 부회장은 2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관련 정책토론회를 통해 이 같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산에 대한 간호계의 의견을 대변했다.

박 부회장은 먼저,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성공의 핵심요인은 전문 간호인력의 확보임에도 병원 경영자는 간호부서를 비용 유발 부서로 인식해 인력 투자를 위한 노력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박 부회장은 간호 관련 수가의 제도적 한계 역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산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 간호관리료는 전체 건강보험 수가의 3%도 미치지 못하며, 병원이 24시간 제공하는 입원서비스 대부분을 간호사가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간호사의 서비스에 대한 보상이라 할 수 있는 간호관리료는 입원료의 25%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박 부회장은 기존의 일반 병동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간호 수행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보조스테이션 설치, 욕창 예방을 위한 에어매트리스, 낙상예방을 위한 전동침대, 환자 관찰 및 모니터링을 위한 환자감시기, 중앙호출시스템 등 전반적인 시설 개선과 투자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그러면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산을 위한 정책적 과제로 △병원경영자의 인식전환 △간호관련 수가 체계의 개선 △간호·간병료 및 시설지원비에 대한 가산 지급 등 지방 중소병원 및 공공의료기관 지원책 마련 등을 제시하는 한편, 공중보건장학 제도 활성화(지역제한 간호사), 공중보건간호사 제도 도입, 간호사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전면적인 실태조사 실시 등 종합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