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9 06:01 (토)
APHRS 김영훈 대회장 “발상의 전환 계기 될 것”
상태바
APHRS 김영훈 대회장 “발상의 전환 계기 될 것”
  • 의약뉴스 김창원 기자
  • 승인 2016.09.22 15: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로운 시도’ 접목…참가자에 실질적 도움 될 프로그램 준비
▲ 제9차 아시아·태평양 부정맥학회 학술대회(The 9th Asia Pacific Heart Rhythm Society Scientific Session) 김영훈 대회장.

제9차 아시아·태평양 부정맥학회 학술대회(The 9th Asia Pacific Heart Rhythm Society Scientific Session) 개최를 앞두고 김영훈 대회장(고려대 안암병원 부정맥센터)이 포부를 밝혀 주목된다.

김영훈 대회장은 22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학회가 단순히 학회의 자리가 아니라 그 것을 뛰어넘어서 새로운 플랫폼이 되려 한다”며 “부정맥 분야에서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대한민국이 앞으로 포지셔닝 하는데 굉장히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학술대회에서 새롭게 시도하는 것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상징적인 것이지만 넥타이를 착용하지 않고, 등록하는 사람들에게 운동화를 지급할 것”이라면서 “상징적인 의미는 학회장 자체를 다이나믹하게 바꾸는 부분도 있고, 우리가 건강해야 한다는 건강의 상징성도 있다. 발상의 전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영훈 대회장의 설명에 따르면 이번 학술대회는 오는 10월 12일부터 15일까지 4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아시아·태평양 부정맥학회(이하 APHRS)는 아·태 지역 16개국의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8년부터 매년 정기 학술대회인 아시아·태평양 부정맥학회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 서울에서 개최되는 학술대회는 국내 학회의 높은 학문적 수준과 왕성한 국제학술대회에서의 활동을 인정 받아 2010년에 이어 한국에서 두 번째 개최되는 것으로, 부정맥 관련 분야에 있어 뛰어난 한국의료수준을 알리고 전 세계적인 의료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도 함께 가지고 있다.

학술대회 조직위원회는 이번 학술대회의 슬로건인 ‘Sharing, Inspiring, and Blooming’의 취지 아래, 부정맥 관련 분야에 관심이 있는 국내외 의료진 및 전문가들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하고, 진료 수준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참가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대가와의 조찬(Breakfast with Master)’을 비롯해 해부학 실습 강의, ‘Help me, master!’ 등 토론과 소통이 활발한 새로운 시도의 세션 구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특히 세계적인 석학들을 대거 초대해 그들의 지식과 경험을 함께 나누는 기회를 마련함과 더불어 개최국인 우리나라 외에도 아시아지역 많은 나라들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개발도상국 부정맥 전문가를 초청해 선진 의료 시스템과의 격차를 줄이고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특별 토론 세션인 ‘Step-up Session’을 마련했다.

뿐만 아니라 단순히 부정맥질환 분야에 대한 학술적인 교류를 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현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사회적인 이슈에 대한 고찰도 함께 해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IBM 왓슨 헬스케어 및 소셜 서비스 담당 임원 기조강연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국 이후에 인공지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요즘, 의료계 역시 예외가 아니며, 인공지능의 도입과 의사의 역할, 그리고 윤리적 문제 등에 대한 여러 고찰이 이뤄지고 있다.

의료 분야는 예전부터 인공지능이 가장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분야로써, 이미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고 그런 성과들이 이번 알파고 대국을 계기로 주목받게 됐다.

특히 심장질환 분야 중 부정맥은 심전도 등 연속적인 생체 데이터를 분석하고, 복합적이고 방대한 의료 데이터를 해석하고 판독해 위험 징후를 예측하는 것이 중요한 분야다.

딥러닝과 인공지능은 향후 진료 방식과 의사의 역할에도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기술로서, 의료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함께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고자 ‘Future of Healthcare: How far AI has advanced and how deeply AI could be applied to medical technology’를 주제로 10월 13일 오후 5시 30분에 진행될 이번 대회 개회식의 기조연설자로서 인공지능 의료의 선두주자인 IBM Watson 헬스케어 및 소셜 서비스의 Farhana Nakhooda(임원)이 강연할 계획이다.

인공지능 기술이 미래 의료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현재 어느 수준까지 와 있는지, 그리고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해 깊은 영감을 줄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며, 더불어 실질적인 인적 교류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심장 질환 중 부정맥 질환에 대한 대국민 홍보
비정상적인 심장의 리듬으로 인해 맥박 혹은 박동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일컬어 부정맥이라고 하는데 그 종류가 다양해 증상이 없고 장애를 주지 않아 치료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으나 적절한 응급처치를 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그 중 심방세동은 부정맥 중에서도 가장 흔해 유병률이 전 세계 인구의 1~2%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고령화의 진행에 따라 환자 수 또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심방세동 환자의 경우 혈전색전증에 의한 뇌졸중 발생 위험이 일반인 대비 약 5배 높으며, 매년 심방세동 환자의 약 5%에서 뇌졸중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질환 인지도 향상이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심방세동에 의한 혈전색전 뇌졸중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다른 원인 질환 대비 범위가 크고 신경학적 장애가 심해 사망이나 중증 장애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

이렇듯 부정맥은 뇌졸중 등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평소 예방 및 관리가 중요한데 비해, 질환에 대한 국민적 인지도가 낮은 것이 현실이다.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부정맥 질환의 국민적 인식 전환 계기를 마련하고, 더불어 향후 지속적인 활동을 위해 대한부정맥학회를 사단법인으로 등록시킬 방침이다.

◇국내 부정맥 분야 진료 수준 향상
50개국 520여 명의 부정맥 및 심장 질환 관련 저명한 초청연사의 강연과 더불어 국내 개원내과의사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세션도 함께 마련하여 국내 부정맥 분야 진료 수준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행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ww.aphrs2016.com 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