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조협과 대개협...성명서 발표하고 철회 요구
복지부의 간호조무사 양성기관 한정을 담은 간호조무사 관련 법 개정을 두고 간호조무사협회와 대개협이 반발하는 등 사태가 가열될 전망이다. 대한개원의협의회(회장 김일중)은 6일, 간호조무사의 질을 하향시키는 간호조무사규칙 개정안에 대해 반대하는 내용을 담은 성명서를 발표했다.
대개협의 간호조무사 설명서 발표는 규칙개정안 즉각 철회를 주장하며 강력하게 반발한 간호조무사협회 입장 발표에 연이은 조치다.
복지부는 지난달 20일 ‘간호조무사 및 의료유사업자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을 오는 10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밝힌바 있다.
복지부의 이번 입법예고가 최근 경기 평택 소재의 한 전문대학이 현행 법령상 미비점을 악용해 간호조무전공을 신설하고 학생들을 모집하는 등 논란이 있어 이를 불식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번 개정안에는 간호조무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기관을 법령을 명확화시켜 양성 기관을 특성화고, 국공립양성소, 간호조무사양성학원, 평생교육시설으로 한정했다.
간호조무사 전문대 양성은 아예 법령에서 삭제시킨 것.
또한 개정안은 간호조무사 자격시험 응시자격 명확화, 합격자의 응시지역과 자격증 발급 지역 일치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간호조무사협회는 해당단체인 간호조무사협회와 사전 상의없이 단독으로 일을 추진한 복지부에 강하게 항의하고 있는 상황.
특히 전문대학내 간호조무사과 설치와 동 과 졸업예정자에 대한 간호조무사 응시자격 인정을 강력히 촉구했다.
대개협 역시 간호조무사 자격을 단지 고졸 출신으로만 제한하고 대학에서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못하게 하는 복지부의 관련법에 대해 전문직종의 인위적 하향 법안이라고 비난하고 나섰다.
이에 대개협 김일중 회장은 “동네 병의원에서는 4년제 간호대학을 졸업한 간호사의 채용이 쉽지 않다”며 “간호조무사가 진료보조업무와 간호보조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부족함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고 복지부의 관련법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복지부 ‘간호조무사 및 의료유사업자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기간이 3일 남은 시점에서 대개협과 간호조무사협회가 동 개정안을 철회 시킬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간호조무사는 보조하는 인력일 뿐이잖습니까? 대학병원에 가니 심부름만 하는 보조인력이던데.....개인병원에서는 00간호사~ 00선생님~ 호칭하면서 의사와 간호조무사 모두 환자들과 보호자들을 기만하고 있더군요. 전 이들이 전문인력이 아닌 간호조무사라는걸 최근에서야 알게 됐습니다.
국민의 의무라는 세금은 제때에 다 걷어가며 의무를 다 하도록 종용하면서, 어째 국민건강의 권리는 제대로 누리지 못하게 하는겁니까? 간호조무사가 아닌 간호사에게 간호를 받을 권리는 개인병원에서는 포기해야 하는 겁니까?
도대체 누구를 위한 겁니까?
관심을 가지고 보니 집주변의 모든 병원에는 간호조무사들만 있더군요.
그곳에서 하는 업무가 종합병원보다는 단순한 업무이고 또 돈때문에 그런다고는 하지만 1차의료를 담당하고 있는 개인병원은 쉽게 접근할 수도 있는 접근성을 제하고도 1차로 걸러준다는 의미에서, 어찌보면 대학병원보다 가장 중요한 곳이라고 할 수있습니다.
이런 곳에서 간호에 관해 전문적으로 배운 간호사가 아닌 보조인력인 간호조무사를 배치시키고 있다는건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국민을 우롱하는 것이란 생각밖에 들지 않는군요.
간호조무사들의 전문적인 교육이 시급하다구요?? 왜 전문 간호인력을 두고 보조 인력을 교육시키려 합니까? 그들의 교육이 더 필요하다면 간호대를 보내면 될것이고, 또 간호사를 고용하면 되잖습니까? 국민을 위해 필요한것이 무엇인지 신중히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