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20:12 (금)
이한우 '급했다' 리베이트, 제약에 떠넘겨
상태바
이한우 '급했다' 리베이트, 제약에 떠넘겨
  • newsmp@newsmp.com
  • 승인 2010.07.27 17: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직거래가 불법 온상...임시 총회서 날선 비판

의약품도매업계가 유통일원화 사수를 위해 오늘(27일) 결의대회를 연다.

이를 위해 임시총회를 소집한 한국의약품도매협회는 이후 투쟁방향에 대해 제시하고 회원사들의 의견과 참여를 촉구할 방침이다.

이한우 회장은 총회에서 발표할 개회사에서 제약업계의 문제를 지적하고 유통일원화를 촉구했다. 그는 “일찍이 정부는 의약품산업을 차세대 국가성장 동력산업으로 지정했고 최근 국회는 제약산업육성특별법을 제정하고 있지만 유통일원화제도가 폐기위기에 당면해 있다”고 밝혔다.

“유통이 배제되거나 소외된다면 그 산업의 발전은 절름발이”이라는 이회장은 “유통일원화제도는 의약품산업의 균형적 발전을 이루고 글로벌 경쟁에서 당당하게 싸워 이기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궁극적으로는 차세대 국가성장의 동력산업으로 발전하는데 초석”이라며 “유통은 동맥과 같아 흐르지 않으면 정체되어 추락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그는 “쌍벌제와 5년 소급적용 리베이트 신고포상제, 저가구매인센티브제도로 제약계가 비명을 지르고 있다”면서 “제약사가 직거래를 하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직거래는 제품의 경쟁력보다는 가격제도를 편법으로 이용해 경쟁력 없는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것”이라는 이회장은 “불법리베이트의 온상이 돼 왔다”며 “바로 생산자와 요양기관의 직거래 이면에는 블랙머니가 있다”고 규탄했다.

투명유통을 위한 정책과 제도로 아파야 할 업계는 판매와 유통을 책임하는 도매유통업계인데도 왜곡된 구조로 생산과 연구를 책임져야할 제약업계가 고통스러워한다는 지적이다.

복지부에 대해서는 “제약계나 병원단체가 제시하는 시장기능에 맡기는 유통은 언제든지 할 수 있다”며 “유통이 정비되는 3년 후에도 언제든지 맡길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회장은 “힘에 밀려 올바른 정책과 제도의 시책을 펼치지 못한다면 또 따른 과오를 낳을 수밖에 없다”며 “2001년에 폐지된 의약품도매업의 시설규정이 그 증거”라고 밝혔다.

또한 “쌍벌제와 리베이트 신고포상제를 통해 투명유통을 정착하려면 반드시 유통일원화제도가 유예돼야 한다”며 “저가구매인센티브제도로 약가를 바로잡으려면 유통을 도매유통업이 전담하는 유통일원화제도가 선행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회원들에게는 “이제 말을 요구하는 단계는 지났다”며 “행동만이 유일하게 요구되고 있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우리의 싸움은 반드시 이길 것”이라고 난관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한편 이회장의 이러한 발언은 제약업계의 협조를 포기하고 정책적으로 당위성을 강조하려는 접근으로 보인다. 불법리베이트 등 투명유통을 가로막는 책임이 제약업계에 있다고 강조해 도매업계의 역할을 높이려는 의도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