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미국 아베오 파마슈티컬스 인수

LG화학은 미국 아베오 파마슈티컬스(AVEO Pharmaceuticals)를 5억 6600만달러(약 8000억원)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고 18일 밝혔다.
LG화학은 아베오의 지분 100%를 인수한다. 아베오는 FDA 승인 신장암치료제 포티프다를 보유한 업체다.
국내기업이 FDA 승인 신약을 보유한 회사를 인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것이 사측의 설명이다.
사측에 따르면, 지난 2002년 미국 메사추세츠주 보스턴에 설립된 아베오는 임상개발ㆍ허가ㆍ영업ㆍ마케팅 등 항암시장에 특화된 역량을 확보한 기업으로, 2010년 나스닥에 상장했으며, 2021년에는 FDA로부터 신장암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 포티브다(FOTIVDA)의 허가를 획득했다.
아베오의 올해 매출은 전년 대비 3배 가까이 성장한 150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진행 중인 포티브다와 면역항암제의 병용임상 성공 시 치료제의 적용범위가 확장돼 추가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LG화학은 보유 자산 등을 활용해 미국 보스턴 소재 생명과학 자회사 LG Chem Life Science Innovation Center(LG CBL)에 인수자금을 출자하고, 이후 LG CBL이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아베오 인수합병을 진행한다. 향후 아베오의 주주총회 과반 승인,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 심의 등의 절차를 거쳐 합병 완료까지 약 3~6개월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LG화학 측은 “이번 인수를 통해 단기간에 미국내 항암 상업화 역량을 확보하는 한편,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 다양한 자체 개발 신약을 출시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게 됐다”라고 자평했다.
LG화학은 항암 분야는 암 전문 소수 의료기관 중심의 판매 조직으로도 사업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성공적으로 상업화 단계에 진입한 아베오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포티브다는 지난 8월 미국항암치료가이드라인(NCCN Guideline)의 권고 약제 지위(Category 1 Recommendation)를 획득해 신장암 치료제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아베오는 포티브다외에도 임상 3상 진행 중인 두경부암 치료제 등 임상개발 단계 항암 파이프라인을 3개 확보하고 있다.
LG화학은 고형암 세포치료제 등 9개 항암 파이프라인을 포함해 통풍, NASH, 비만 치료제 등 총 20개의 개발단계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있다. LG화학은 미국 상업화 역량을 조기 확보함으로써 향후 신약 출시 초기부터 시장 진입을 가속화하겠다는 구상이다. LG화학은 아베오의 상업화 및 임상 역량을 내재화해 오는 2027년 생명과학부문 매출 2조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이번 인수 결정은 LG화학 바이오사업 40여년 역사상가장 중요한 이정표이자 이 사업이 글로벌로 도약하는 기틀을 마련한 것”이라며 “미국 상업화 역량 지속 강화를 통해 현지 매출 확대에 적극 나서고 항암 중심의 미국 임상 및 허가 역량을 한층 높여 글로벌 혁신 제약사 도약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 한국-베트남 수교 30주년 가족음악회 개최

한국유나이티드제약과 유나이티드문화재단은 최근 베트남 호치민 국립음악원(Ho Chi Minh City Conservatory)에서 '2022년 한국-베트남 수교 30주년 기념 유나이티드 가족 음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음악회에는 한국유나이티드제약 강덕영 대표이사를 비롯해 주호치민 대한민국 총영사관의 강명일 주호치총영사, 권기만 영사, 조연미 영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호치민 무역관의 김관묵 관장, 호치민 국립음악원장 등이 참석했다.
또한 유나이티드제약 파트너사 바이오남(BIONAM)을 비롯해 베트남 제약업계 관계자들과 호치민 10개 학교 관계자 등 300명도 함께했다.
공연은 베트남 현지에서 활동 중인 음악가들이 진행했다. 현지 대학생 60명으로 구성된 '유나이티드 유스 합창단'과 베트남 호치민 국립음악원 음악가들이 아름다운 화합을 만들어 냈다.
비발디 '바이올린 협주곡', 모차르트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식 제 3막 중 편지의 이중창' 등 클래식과 '그리운 금강산, '고향의 봄' 등 국내 곡까지 다양한 곡들로 채워졌다.
이 콘서트는 2004년부터 기업 사회 환원 일환으로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를 위해 진행하고 있다.
국내는 물론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의 해외 법인이 위치한 베트남서도 2016년부터 호치민 국립음악원과 함께 가족음악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는 호치민 하모니 합창단을 창단해 운영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서는 2013년부터 지속해오고 있는 '홈타민 장학금' 수여식도 열렸다. 홈타민 장학금은 하노이 의대ㆍ약대생 40명, 호치민 의대ㆍ약대ㆍ음악원생 50명, 똔득탕 약대생 10명,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법인 공장이 있는 빈즈엉(Binh Duong)성의 빈즈엉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 50여 명에게 지급했다. 총 규모는 4억 9000만동(한화 약 2400만원)이다.
강덕영 대표는 "30주년이 된 양국가의 경제 문화 협력 관계는 여전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이번 유나이티드 가족 음악회가 양국 간 경제 문화 협력 관계에 있어 보탬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휴젤, 남미 의료전문가 대상 GLAM 2022 개최
휴젤이 최근 남미 의료전문가들(HCPs)을 대상으로 ‘GLAM 2022’ 첫 행사를 성료했다고 18일 밝혔다.
GLAM(Global Aesthetics Masterclass)은 휴젤이 글로벌 시장 내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마련한 해외 의료전문가 초청 프로그램으로, 이번에 콜롬비아ㆍ에콰도르 KOL(Key Opinion Leader) 20여명과 현지 유통 파트너사 애보트(Abbott)의 주요 관계자를 초청, 3일간의 일정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행사 첫 일정으로는 ‘거두공장’ 투어를 진행했다. 거두공장은 휴젤의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보툴리눔 톡신 브랜드 ‘보툴렉스’ 및 HA필러 브랜드 ‘더채움’의 주요 생산기지로,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우수한 생산 시설과 기술력 등을 소개했다.
현장 시술 강연(Live Demo)도 마련됐다. 수아이성형외과 안태주 원장은 ‘한국의 톡신ㆍ필러 시술 테크닉(Latest Korean Toxin/Filler Injection Technique)’에 대해, 피어나클리닉 최호성 원장은 ‘HA필러와 보툴리눔 톡신 시술을 통한 얼굴 중ㆍ하안부 윤곽 개선(How to Re-Contour Mid & Lower Face with Highlighting Injection Technique using HA Filler and Toxin)’에 대한 강연을 진행했다.
특히, 이번 현장 시술 강연은 기존에 경험해보지 못했던 한국의 새로운 시술 테크닉을 전수받을 수 있는 자리라 참여자들의 열띤 호응을 얻었으며, 보다 최적의 시술 노하우를 전하기 위해 남미지역 환자를 섭외하는 등 참여자들을 고려한 맞춤형 강연 진행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는 후문이다.
현장 강연 후 진행된 질의응답 시간에는 ‘MISBIB(Multiple Intradermal Small Bolus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진피내소분주사법)’ 테크닉에 대한 심도 깊은 토론이 이어지는 등 적극적인 참여가 이어졌다.
다양한 학술 세미나도 진행됐다. 휴젤 의학본부 문형진 부사장은 ‘보툴렉스’의 미국ㆍ유럽 임상 3상(BLESS III) 최신 연구 결과와 더불어 3D 모델링을 동반한 ‘안면 해부학(Dynamic Facial Anatomy)’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샘스킨성형외과 홍기웅 원장은 ‘HA필러의 유동학적 특성 및 SSRT(Skin & SMAS Layer Remodeling Technique/피부 및 근막층 리모델링 기술)에 기초한 안면 윤곽술(Facial Contouring Based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HA Filler and SSRT)’을, 라이크성형외과 이용우 원장은 ‘코로나 이후 한국의 에스테틱 시술 트렌드(Post-Covid Aesthetic Treatment Trend in Korea)’를 주제로 발표했다.
휴젤 관계자는 “라틴아메리카는 미용 시술에 대한 높은 관심과 수요로 향후 무궁무진한 성장 가능성을 지닌 시장인 만큼, 휴젤의 기업 인지도 확대를 목표로 이번 프로그램을 진행했다”며 “향후 지속적인 GLAM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세계 각지 의료 전문가들에게 휴젤과 휴젤 브랜드의 우수성을 알려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유영제약, 사무직 및 연구직 임직원 대상 집체 교육 성료

유영제약은 지난 14일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휴넷캠퍼스에서 MOS(Management and Operation Specialist, 사무직ㆍ연구직) 임직원을 대상으로 집체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인재개발팀 주관으로 실시한 이번 교육은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대면 집합 교육으로 진행했으며, 교육직장 내 성희롱ㆍ괴롭힘 예방, 장애인 인식 개선 등 법정 의무 교육과 ‘세대 갈등 극복 및 공감의 기술’이라는 주제의 소통 교육을 진행햇다.
세대 갈등 극복 및 공감의 기술 교육은 본부ㆍ성별ㆍ연령 구분 없이 조를 구성, 다양한 팀빌딩 활동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및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 조 활동의 효율을 높이고 적극적으로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후 조별로 활동하며 TA 교류 분석 진단을 통해 조직 내에서 본인과 팀원들이 어떠한 유형인지, 어떻게 배려해야 하는지, 성별ㆍ연령에 상관없이 타인을 인정하고 이해하는 방법 등을 배웠다.
또한 인재개발팀 팀장이 진행한 직장 내 성희롱ㆍ괴롭힘 예방 교육에서는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모두가 가해자ㆍ피해자가 될 수 있다고 강조, 하지 말아야 할 언행 및 피해를 당했을 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실제 발생 시 어떠한 과정으로 사내에서 처리하는지 등을 안내했다.
◇셀트리온, 피노바이오 ADC 플랫폼 활용 항암제 개발 추진
트리온은 17일 국내 바이오 기업 피노바이오와 '항체-약물 접합체(ADC) 링커-페이로드 플랫폼 기술실시 옵션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측에 따르면, 이번 계약으로 셀트리온은 선급금을 지급하고 최대 15개의 타깃에 피노바이오의 ADC 링커-페이로드 플랫폼인 PINOT-ADC를 활용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다.
셀트리온은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 후보 물질에 PINOT-ADC 기술을 적용해 고형암을 타깃으로 하는 ADC 항암제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이번에 확보한 총 15개의 타깃 옵션권에 대해 1개의 옵션 행사 시마다 1개의 타깃에 관련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각 옵션 행사에 따른 선급금, 마일스톤, 로열티는 별도 책정했따.
ADC 링커-페이로드 기술은 특정 항원에만 반응하는 항체에 치료효과가 뛰어난 화학약물(Payload)을 결합해 약물이 항원을 발현하는 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술이다.
최소의 약물투여로 최대한의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목표 세포에 선택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셀트리온은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와 유방암ㆍ위암 치료제 허쥬마, 전이성 직결장암·비소세포폐암·난소암 치료제 베그젤마 등 항암제를 확보하고 있다.
이번 계약으로 ADC 플랫폼 기술실시 옵션권을 확보하면서 보다 다양한 항암제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피노바이오와 플랫폼 기술실시 옵션 도입 계약과 함께 지분투자 및 공동연구 계약도 체결했다.
양사는 지분투자와 공동연구 계약을 통해 장기적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한편 ADC 치료제 개발이라는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해 각사의 개발 역량을 최대한 집중하기로 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이번 링커-페이로드 플랫폼 기술실시 옵션 도입을 통해 미래 성장동력사업으로 진행 중인 ADC 항암제 개발에 추진력을 더하게 됐다"며 "향후 피노바이오와 같은 선도 기술을 보유한 유망한 바이오테크와의 꾸준한 협업을 통해 신성장동력 확대에 적극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