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경기도 성남시에 이어 다른 지역에서도 창고형 약국이 등장할 수 있다는 소문에 약사사회가 긴장하고 있다.
최근 약사사회에는 경기도 구리시 혹은 대구 등에 제2의 창고형 약국이 개업할 수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특히 서울ㆍ경기 지역에서 초대형 부지에 약국 개업을 준비 중인 약사들이 등장하면서, 약사사회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약사들이 성남시에 이어 다른 지역에서도 창고형 약국이 등장할 수 있다는 소문에 긴장하는 이유는 골목 약국들이 몰락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인식 때문이다.
창고형 약국이 자본력을 바탕으로 일반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등을 저렴하게 매입해 판매하면, 일반 약국들이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없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
약사 A씨는 "창고형 약국은 일반 약국에서 들여 놓을 수 없는 수준의 물량을 주문해 일반의약품과 건기식의 매입 단가를 낮춘다"며 "이를 토대로 일반 약국들의 매입가보다 더 낮은 가격으로 제품들을 판매하며 소비자들을 유인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형 자본으로 인해 골목 약국들이 위태로운 환경에 내몰리는 상황으로, 단순히 약국의 마진 문제로 봐선 안된다"면서 "대형 자본에 골목 약국이 무너지기 시작하면, 지역사회 보건의료 체계 붕괴로 이어질 수 있어 약국 환경의 붕괴를 막고자 약사들이 반대하고 있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처럼 약사사회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대한약사회를 중심으로 일부 약사단체들이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지만, 뚜렷한 대책은 나오지 않았다.
이에 일부 약사들은 대한약사회가 책임지고 현 사태를 해결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실례로 약사단체 실천하는 약사회는 최근 성명서를 통해 "약사회는 창고형 약국의 개설이 현행법상 불법이 아니기 때문에 대응할 수 없다는 입장만 반복하고 있다"며 "회원 보호는커녕,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약사회는 당장 창고형 약국을 운영하는 약사회를 윤리위원회에 회부하고, 시민단체, 복지부와 공조해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며 "대약은 이제 성명서가 아닌 행동으로 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면, 약사회가 보다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창고형 약국이 위법을 저지르지 않는 상황에서 영업 중단을 요구하는 방식으로는 문제를 풀 수 없으며, 다른 대응책을 고민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약사 B씨는 "당장 창고형 약국이 위법을 저지르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영업 중단을 요구하는 등의 극단적 행동은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며 "긴 호흡으로 지역 약국이 이번 문제를 넘어설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창고형 약국은 세밀한 상담이나 지역 환자 관리에 한계가 있다는 맹점이 있다"며 "지역 약국의 장점을 홍보하고, 창고형 약국이 가져올 수 있는 병폐를 알리기 위해 힘써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단기적으로 해결책을 내려하면 약사 이기주의로 낙인 찍힐 수 있다"며 "여론의 지지를 바탕으로 약국 생태계를 지킬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