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21 21:36 (월)
유한양행 자회사 유한화학, 글로벌 CDMO 경쟁력 위한 생산동 신축 기공 外
상태바
유한양행 자회사 유한화학, 글로벌 CDMO 경쟁력 위한 생산동 신축 기공 外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2.11.04 13: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한양행 자회사 유한화학, 글로벌 CDMO 경쟁력 위한 생산동 신축 기공

▲ 유한화학은 최근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에 위치한 화성공장에서 HB동 기공식 행사를 가졌다.
▲ 유한화학은 최근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에 위치한 화성공장에서 HB동 기공식 행사를 가졌다.

유한양행의 원료의약품 생산 자회사인 유한화학(대표 서상훈)이 생산동 신축을 통해 원료의약품 생산역량 확대에 나섰다.

유한화학은 최근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에 위치한 화성공장에서 HB동 기공식 행사를 가졌다.

기공식에는 유한화학 서상훈 사장을 비롯한 임직원들과 유한양행 임직원 및 공사 관련 시공, 감리, 설계를 맡은 협력사의 임직원들이 참석했다.

유한화학 서상훈 사장은 기념사를 통해 "화성공장 HB동 신축을 계기로 원료의약품 글로벌 CDMO 사업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생산 능력을 갖출 것”이라며 “특별히 안전하고 재해가 없는 공사가 될 수 있도록 협력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유한화학 HB동 신축공사는 연면적 9709.43㎡ 규모로 2023년 10월 완공을 목표로 진행한다.

한편, 유한양행은 글로벌 제약사들을 파트너로 화학합성 중간체 및 API(핵심 원료의약품,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를 공급하는 CDMO 사업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특히 유한양행 중앙연구소의 신약의 합성 공정 및 분석 연구 역량과 함께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최고 수준의 cGMP 생산 시설을 보유한 유한화학의 생산역량이 그 기반에 있다.

현재 유한화학은 안산1공장과 화성2공장 2곳에 총 생산능력 70만L 규모의 세계 수준 cGMP급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번 유한화학 화성공장 생산시설 증설을 통해, 유한양행과 유한화학은 향후 글로벌 CDMO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공고히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휴온스 3분기 매출 10% 성장
휴온스(대표 송수영, 윤상배)는 3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은 전년대비 10% 증가한 1231억원, 영업이익은 86% 감소한 2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3분기 매출액은 전문의약품 부문과 뷰티·웰빙 부문의 안정적인 성장세에 힘입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영업이익은 해외사업에서 발생한 대손상각비가 반영되면서 수익성이 일시적으로 감소됐다는 것이 사측의 설명이다.

영업이익 감소 원인에는 해외사업 확대 과정에서 발생한 대손상각비 56억원을 일시 반영한 점을 꼽았다. 

지난 2020년 미국법인을 통해 수출했던 개인보호장비(PPE)가 코로나19 방역조치 해제로 판매가 어려워져 미회수 매출채권 전액을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에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전문의약품 부문은 마취제, 순환기 계통 의약품의 매출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 늘어난 528억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마취제는 리도카인을 중심으로 미국 수출액이 증가하면서 분기 최초 100억원 매출을 돌파했다. 

고혈압, 고지혈증 분야인 순환기계통 의약품도 143억원을 기록하며 3분기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뷰티ㆍ웰빙 부문은 전년 대비 17% 성장한 446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건강기능식품 사업은 갱년기 유산균 메노락토가 2분기 연속 100억원 매출을 돌파했고 다이어트 건기식 살사라진 락토페린이 전분기 대비 22% 성장한 47억원의 매출을 달성하는 등 169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순항했다. 

의료기기 사업분야도 혈당측정기 덱스컴G6와 코로나 진단키트 매출의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7% 성장한 40억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성장에 힘을 더했다.

수탁사업 부문의 매출은 149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의약품 수탁은 전년 대비 10% 증가한 79억원을 기록했지만 점안제 수탁은 9% 감소한 7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건강기능식품 자회사 휴온스푸디언스도 매분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해외수출과 OEM 매출이 증가하며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21% 증가한 127억, 영업이익은 10억원으로 합병 후 첫 흑자를 기록했다.

휴온스는 개량신약 파이프라인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신약 연구개발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국내 최초 복합 안구건조증 치료제로 개발 중인 ‘HUC2-007’은 지난 9월 식약처에 임상 3상 IND를 제출했다. 

이번 임상을 통해 기존 단일 점안제 및 인공눈물을  대체하는 사이클로스포린 복합점안제를 개발 중이며 2년 내 품목허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외에 항당뇨제(HUC2-344), 위식도역류질환(HUC2-364)도 임상 1상 IND를 승인 받으며 순조롭게 임상을 진행 중이라는 것이 사측의 설명이다.

사측에 따르면, 내년에 예정된 제네릭 의약품의 급여 재평가를 대비한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도 마무리 단계다.

 현재 위탁 생산 중인 28개 주요 의약품의 자사 제조소 변경 허가가 내년 상반기 모두 완료될 예정이며 자사전환에 따라 의약품 매출의 수익성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휴온스 송수영 대표는 “휴온스는 불확실한 대외 여건 속에서도 매년 비약적인 성장을 지속적으로 이뤄왔다”며 “확장된 사업 영역을 정돈하고 내실경영을 강화하여 외형 성장과 함께 수익성을 극대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신약조합, 제약바이오헬스 통계포럼ㆍ제약바이오 사업개발 전략포럼 개최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하 신약조합)은 오는 11월 7일(월) 서울 코엑스 1층 B1홀 현장세미나실 A에서 ‘2022년도 제1회 제약ㆍ바이오헬스 통계포럼’ 및 ‘2022년도 제2회 제약ㆍ바이오 사업개발 전략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신약조합과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이 공동 주최하고 신약조합 산하 제약ㆍ바이오 사업개발연구회(연구회장 이재현, K-BD Group)가 주관하는 통계포럼은 ‘정량적 데이터 기반 제약ㆍ바이오 현황과 미래전략’을 주제로 국내 바이오헬스산업의 글로벌 혁신성장을 위한 전략수립을 모색한다.

 이번 통계포럼은 신약조합 조헌제 연구개발진흥본부장의 사회로 진행되며 이재현 연구회장의 인사말과 여재천 상근이사의 축사를 시작으로 △ 제약ㆍ바이오산업의 국내 외 시장동향 및 전망(제약산업전략연구원 정윤택 대표), △ 국내외 임상시험 최신 동향 및 전망(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지태용 대리), △국내외 제약·바이오 M&A 및 라이센싱 딜 주요 동향 및 전망(인트라링크스 한국지사 김선식 대표), △ 미국특허로 바라본 바이오의약분야 특허의 기술경쟁력 분석결과(한국특허기술진흥원 김봉진 수석) 등 각 분야별 전문가의 4개 주제발표가 이어진다.

통계포럼에 이어 신약조합과 성균관대학교 LINC 3.0 사업단이 공동 주최하고 K-BD Group이 주관으로 진행하는 사업개발 전략포럼이 진행된다.

포럼에서는 ‘바이오헬스산업의 글로벌 성장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전략’을 주제로 디지털치료제, 융복합의료제품, AIㆍBig Data, 첨단바이오, 희귀의약품 등 분야별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위한 접근 전략을 공유한다.

조헌제 연구개발진흥본부장의 사회로 진행되는 이번 포럼은 이재현 연구회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 바이오헬스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전략(CSD Consulting 신동일 대표), △ 디지털치료제 분야 시장동향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전략(㈜웰트 강성지 대표), △ 융복의료제품 분야 시장동향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전략(아주대학교 약학대학 김주희 교수), △ AI·Big Data 분야 시장동향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전략(㈜워트인텔리전스 윤정호 대표), △ 첨단바이오 분야 시장동향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전략(㈜큐어세라퓨틱스 김태호 대표), △ 희귀의약품 분야 시장동향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전략(클래리베이트 박효진 컨설턴트) 등 각 핵심분야별 전문가의 6개 주제발표가 이어질 예정이다.

한편, 8일(화) 서울 코엑스 1층 B1홀 내 현장세미나실 B에서는 국내 제약ㆍ바이오기업 및 벤처캐피털 등 투자기관에게 유망바이오벤처ㆍ스타트업기업 및 연구개발중심 우량 제약ㆍ바이오기업과의 네트워킹을 통한 유망아이템 발굴 및 투자, M&A 등 상생협력 및 정보교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2022년도 제2회 유망바이오벤처ㆍ스타트업 투자포럼’ 및 ‘2022년도 연구개발중심 우량 제약ㆍ바이오 IR(IPIR 2022)’을 개최한다.

이 행사는 신약조합과 성균관대학교 LINC 3.0 사업단이 공동 주최하고 제약ㆍ바이오 사업개발연구회 및 아주대학교 기술지주, 엔포유기술지주, 대경기술지주가 공동 주관하며, 유망 기업 발굴을 위해 서울아산병원 바이오 코어 설비 센터, 에스와이피가 협력기관으로 참여한다.

이번 투자포럼은 국내 바이오헬스산업계 오픈이노베이션 촉진의 일환으로 국내 제약ㆍ바이오기업 등 기업 및 벤처캐피털 등 투자기관에게 유망기술 또는 플랫폼을 자체 보유하고 있는 바이오벤처ㆍ스타트업기업과의 네트워킹의 장을 마련, 우수 기술 발굴, 투자, M&A 등 상생 협력 및 정보교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했다.

포럼에는 벤처ㆍ스타트업기업 10개사가 참여하여 기업별 보유 역량과 연구개발 파이프라인 소개 및 제휴ㆍ협력 방안에 대한 IR을 진행할 예정이다.

 참여 기업은 △큐리진(Bi-specific RNAi 치료제, 정맥 투여용 항암 바이러스), △로펠바이오(신규 유전자에 기반한 항암 바이오마커 및 항암제 개발), △사피엔스바이오(머신러닝 플랫폼에 기반한 섬유화 질환 및 알츠하이머 치료제 신규 타깃 발굴 및 개발), △에스앤케이테라퓨틱스(자가면역질환 및 염증성질환 치료제), △팜캐드(물리학ㆍ양자역학 기반 AI 신약 개발), △ 유씨아이테라퓨틱스(유전자 조작을 통한 종양미세환경 극복 및 병용효과 기능을 높인 고형암 표적 CAR-NK 면역세포치료제), △제르나바이오텍(차세대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치료제 개발), △나노팬텍(초대수지상세포의 배양과 항암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키바이오(섬유증 치료 및 완화를 위한 플라보논 유도체 화합물(CBL-8300)의 신약 개발), △골다공인공지능(골다공증 예측 서비스) 등이다.

투자포럼에 이어 같은 장소에서 개최되는 연구개발중심 우량 제약ㆍ바이오기업 IR(IPIR)은 제약ㆍ바이오기업 고유의 연구개발 역량과 성과에 대한 현재 및 미래가치의 정당한 평가를 통해 원활한 투자 유치 환경을 구축하고 기업의 시장가치를 제고해 건전한 오픈이노베이션 환경을 조성하고자 기획했다. 

이 행사에서는 애스톤사이언스(암 치료 백신 개발 및 Th-Vac 플랫폼 구축), △아리바이오(Shifting paradigms in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운트바이오(휴먼 인슐린 및 인슐린 아날로그(리스프로 글라진) 상용화 연구개발 사업), △아울바이오(의약용 약물전달기술을 이용한 약효지속형 주사제 개발), △포스백스(바이러스유사입자(VLP) 플랫폼 기반 프리미엄 백신 개발), △엠테라파마(질환의 병인이 복합적인 만성 난치성 질환에 대한 다중 타겟의 질환 개선용(disease-modifying) 치료제 연구 개발), △메디노(희귀난치성 신경계 질환 극복을 위한 세포 및 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 △아이진(노화관련 만성허혈성질환 치료제 및 신규 면역증강제를 포함한 고효율의 성인용 프리미엄 예방백신 개발), △엔솔바이오사이언스(난치성 질병 치료제 개발 및 제약 사업화), △SCM생명과학(원천기술에 기반한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및 상업화) 등 유망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는 제약ㆍ바이오기업 10개사가 IR 발표를 진행한다.

이외에도 신약조합은 국내 생명과학 분야의 최신 연구개발기술과 동향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KOREA LIFE SCIENCE WEEK 2022(2022 코리아 라이프사이언스 위크)’를 공식 후원하먀, 전시회와 연계해 7일(월)부터 8일(화)까지 2일 동안 서울 코엑스 1층 B1홀에서 제약ㆍ바이오기업 및 바이오 벤처ㆍ스타트업기업이 자체 보유 중인 우수 기술을 국내외 기업 및 투자기관에게 적극 알릴 수 있도록 ‘KDRA 바이오혁신기업 공동 홍보관’과 ‘KDRA 바이오헬스 파트너링&포스터 존’을 운영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