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6 16:47 (수)
민생지원금 사용처 제한, 일선 약국가 엇갈린 반응
상태바
민생지원금 사용처 제한, 일선 약국가 엇갈린 반응
  •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 승인 2025.07.07 05: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 매출 30억원 이하 사업장으로 한정...“약국의 특수성 고려해야”

[의약뉴스] 정부가 민생지원금 사용처를 연 매출 30억원 이하 사업장으로 제한, 약국가의 표정이 엇갈리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5일, 오는 7월 21일부터 9월까지 전 국민에게 1차 민생회복금 15만원을 지급한 뒤, 오는 9월 22일부터 10월 31일까지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전 국민의 90%에게 1인당 10만원을 추가 지급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 정부는 민생회복금 지급 계획을 발표했다.
▲ 정부는 민생회복금 지급 계획을 발표했다.

민생회복금은 신청인의 주소지 관할 시군구 내, 연 매출 30억원 이하 소상공인 사업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정부가 민생회복금 지원 계획을 발표하자, 일선 약사들은 약국 매출 상승 등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2020년 재난지원금처럼, 약국에서 저렴한 건강기능식품이나 의약외품 매출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

약사 A씨는 “2020년 재난지원금 지급 이후,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하거나 병원 진료 후 약국을 찾는 환자들이 늘었다”며 “이번에도 지난 재난지원금 때와 비슷한 방식의 소비 패턴이 형성된다면, 불경기로 힘든 약국 경영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사람들이 민생회복금으로 생필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약국을 많이 찾길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처럼 일선 약사들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일각에서는 정부가 연 매출 30억원 이하의 사업체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한 것에 불만을 토로했다.

이 기준에 따르면 전체 약국의 10~15%가 사용처에서 제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약사 B씨는 “정부의 민생회복금 사용처 제한 규정을 약국에 적용하면, 주변에 큰 병원이 있거나, 만성질환자 방문이 잦은 약국들은 제외될 가능성이 크다”며 “고가 약 처방이 많은 약국일수록 연 매출액에 포함되는 재료비 비중이 커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재료비 비중이 높아 소득에 비해 매출액이 지나치게 높게 잡히는 경향이 있다”며 “이런 부분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것 같아 아쉬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특수성을 고려해 민생회복금 사용처 제한 규정에서 약국을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약사 C씨는 “약국 매출액 기준 문제는 그동안 지역화폐 사용처나, 지자체 기본소득 사용처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여러 번 다뤄졌던 사안”이라며 “정부가 과거 사례를 참고해서 이번에는 시행착오 없이 약국에서도 민생회복금을 쓸 수 있도록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이는 약국의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환자들이 지정 약국을 찾아 헤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라며 “정부의 세심한 고려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