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6 13:57 (수)
의대생이어 전공의 복귀 현실화, 의료정상화 기대감 확대
상태바
의대생이어 전공의 복귀 현실화, 의료정상화 기대감 확대
  • 의약뉴스 강현구 기자
  • 승인 2025.07.16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의료계ㆍ정치권 협력으로 해빙 무드...학사일정ㆍ법적부담 등 과제 산적

[의약뉴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의대생들이 학업 복귀를 선언하고, 현장을 떠났던 전공의들도 수련 재개 논의에 속도를 내면서 1년 5개월간 이어진 의정 갈등이 중대 전환점을 맞았다.

국회와 정부, 의료계가 멈춰 섰던 의학교육과 진료 현장을 되살리기 위해 힘을 모으면서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학사 문제부터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의료계 내부 갈등 해소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아 신중론도 제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계 안팎에서는 이들의 복귀 움직임이 기나긴 갈등에 종지부를 찍을 ‘의료 정상화의 첫걸음’이라는 데 공감대가 형성되는 분위기다.

▲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의대생 전원이 학업 복귀를 선언하고, 현장을 떠났던 전공의들도 수련 재개 논의에 속도를 내면서 의정 갈등이 해결될 것인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의대생 전원이 학업 복귀를 선언하고, 현장을 떠났던 전공의들도 수련 재개 논의에 속도를 내면서 의정 갈등이 해결될 것인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정상화의 물꼬는 의대생들이 텄다. 국회 교육위ㆍ복지위와 대한의사협회, 대한의과대학ㆍ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는 지난 12일 공동 입장문을 내고 학생 전원 복귀와 불이익 방지, 교육 정상화를 약속했다.

문제는 복귀 이후로, 당장 학사 일정 조율부터 난관이다.

정부는 그간 ‘학사 유연화는 없다’는 강경 입장을 고수해왔지만 지난 14일 브리핑에서 ‘종합적 검토’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한발 물러섰다.

교육부 차영아 부대변인은 “학교별 유급 학칙, 예과와 본과 상황 등 고려할 여건이 달라 교육 당사자들과 관계 부처가 협의해 방향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혀, 대학별 자율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전공의ㆍ교수간 사제 연대’, 국회도 제도 개선 약속
의대생들의 복귀 흐름이 전공의 수련 현장으로 번지고 있다. 특히 새롭게 구성된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대위가 적극적인 소통에 나서면서 교수 사회와의 해묵은 갈등을 풀고 신뢰를 회복하고 있다.

한성존 위원장이 이끄는 대전협 비대위는 지난 12일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회장 조윤정)와 간담회를 갖고 ‘수련 정상화’에 뜻을 모았다.

조윤정 회장과 한성존 위원장은 “사제 간 신뢰를 회복하고 협력의 출발점에 섰다”며 “수련 연속성 보장과 지도 전문의 확보 등 구체적 제도 개선을 함께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15일 별도 성명을 통해 “대전협 비대위의 진심 어린 소통 행보를 환영하고 성원한다”고 전했다.

국회도 화답했다. 복지위 여당 의원들은 대전협과 만나 의료사고 법적 부담 완화 등 수련 환경 개선에 공감한다며 중장기적인 제도 보완을 약속했다. 

이에 한성존 위원장은 “환자분들이 겪었을 불안에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면서 " 더 나은 의료를 위한 고민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박주민 복지위원장은 “지난 갈등에서 가장 큰 참사는 신뢰의 붕괴였다"며 "이제 다시 신뢰를 복원해가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 병원-전공의 만남 중재...19일 총회가 분수령
의료계 차원에서도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가 수련병원과 전공의 단체 사이에서 직접 소통 창구를 마련하기로 한 것이다.

의협은 14일 대한수련병원협의회와 간담회를 열고, 조속한 시일 내에 수련병원협의회와 전공의 단체가 만나는 공식 논의 자리를 주선하겠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 등 주요 대형병원장들이 대거 참석했으며, 15일에는 대전협 비대위와도 만나 의견을 교환했다. 

이제 공은 전공의들에게 넘어갔다. 전공의들의 구체적인 요구사항과 복귀 일정 등은 오는 19일에 개최하는 대전협 임시대의원총회에서 최종 결정할 예정이어서, 의료계 전체가 총회 결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